본문 바로가기
지난 이야기들/영어 필사 X 52주챌린지 (feat. 인생명언200)

[인생명언200] 영어 필사 X 52주챌린지[W2D3] / Like tomatoes in a garden, hardship helps us grow to be fruitful

by 김멍뭉씨 2023. 4. 26.
반응형

 

[인생명언200/008]

The hardships that I encountered in the past
will help me succeed in the future.
내가 과거에 마주친 고난은
미래에 내가 성공하도록 도와줄 것이다.

- Phillip Emeagwali -

실패 없는 성공이 없다는 말은

우리가 실패를 통해 성장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작은 실수와 작은 실패들을 자주 할수록 좋다.

거기에서 우리는 작은 성장을 이루고

그것이 쌓여 미래에 성공하는데 밑거름이 될 것이다.

 

[구문 알기]

  • the hardships [that I encountered in the past]
    [내가 과거에 마주친] 고난들
    • that은 형용사절을 이끄는 관계대명사 역할을 하며 that절이 선행사 the hardship을 수식한다
  • the hardship will help me succeed
    그 고난은 내가 성공하도록 도와줄 것이다.
    • help 다음에 목적어(me)와 목적보어(succeed)가 온 구문이다.
      이때 목적어를 보충 설명해 주는 to부정사(to succeed)와 동사원형(succeed) 둘 다 쓸 수 있다.
      이를테면, 다음 두 문장은 모두 옳은 문장이다.
      1. I helped him clean.
      2. I helped him to clean.

 

[단어/숙어 알기]

  • hardship : 고난
    • Dave suffered financial hardship after he lost his job.
      Dave는 실직한 후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었다.
  • encounter : 마주치다
    • I encountered my old friend on the road.
      나는 길에서 우연히 옛 친구를 만났다.

[멍뭉’s Story]

Game of Thrones - The Laws of Gods and Men [S04E06]

 

Tell this man I am sorry for his hardship.

Game of Thrones (2011) - S04E06 clip with quote Tell this man I am sorry for his hardship. Yarn is the best search for video clips by quote. Find the exact moment in a TV show, movie, or music video you want to share. Easily move forward or backward to get

yarn.co

  • Tell this man I am sorry for his hardship.
    이 남자에게 그의 어려움에 대해 미안하다고 전하세요.
    • 한참 왕좌의 게임을 볼 때 공부를 했다면 정말 재밌게 했을 것 같다.
      오래되어 기억이 가물거리지만 용엄마는 항상 약자 편이었던 것 같다.

 

'Financial hardship': The tough admission that can make your life easier
'재정적 어려움': 삶을 더 쉽게 만들 수 있는 어려운 결단

 

'Financial hardship': The tough admission that can make your life easier

If you're struggling to make ends meet, two words - financial hardship - can help take the pressure off. Here's what you need to know.

www.moneymag.com.au

  • financial hardship이라고 하면  '재정적 고난' 또는 '재정적 어려움'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Like tomatoes in a garden, hardship helps us grow to be fruitful

 

Like tomatoes in a garden, hardship helps us grow

Growth, strength and endurance come through stress. It is through suffering and struggle that we learn to sink our roots deep, that we become fruitful.

den.mercer.edu

  • “If you water them now,” he said, “their roots will stay shallow, and they won’t survive the August heat.” 
    "지금 물을 주면, 토마토의 뿌리가 깊이 내려가지 못해 8월의 열기에서 살아남지 못해."
  • He went on to explain, “There is water down there (pointing to the soil);
    그는 설명을 이어갔다, "(땅을 가리키며) 저 아래 물이 있어;
    they will learn to sink their roots down and eventually find it. 
     토마토는 뿌리를 내리는 법을 배워 결국 물을 찾을 거야.
  • If you water them now, you will be making it too easy for them, and they will die in the dog days. 
    만약 지금 물을 주면, 토마토들이 너무 쉽게 생존할 수 있게 만들 것이고 무더위에 죽게 돼.
    • making it too easy는 이전 문장에서 토마토가 뿌리내리는 법을 배워야 하는데
      물을 줘서 이 과정을 너무 쉽게 만들면 뿌리가 깊이 내려가지 못해 무더운 날 버터지 못하고 죽게 될 거라는 뜻이다.
      해석이나 의역, 번역이 없어도 그냥 영어 자체로 받아들이는 게 더 쉬운 문장이다.
    • dog day는 보통 7월부터 8월 말까지의 무더운 기간을 가리킨다.
      이 기간 동안 개 무리들이 쉬는 모습을 보고 붙여진 이름이다.
      무더운 날 개들이 헐떡이는 모습을 떠올리면 될 것 같다.
  • You have to make it tough on them so that they grow deep roots. 
    어렵게 만들어 줘야 뿌리가 깊게 자라.
    • 이런 문장 때문에 해석이든 번역이든 의역이든 자꾸 하기 싫어진다.
      직역을 하면 어색하고,
      의역이면  맥락에 맞게 문장 앞뒤로 다 고쳐야 하고,
      영어 그대로 의미가 받아들여지는 문장을 굳이 해석이나 번역을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건가?
      필사를 하면서 더 많이 느끼는 부분이다.
  • It’s the only way you will have tomatoes.”
    그게 토마토를 얻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야.



'hardship'을 검색하는데 웬 토마토 얘긴가 싶어 읽어보았다.

오늘의 명언과 아주 잘 맞는 내용이다.

'온실 속의 화초'가 괜히 나온 말이 아니다.

식물들은 물과 영양분이 부족한 환경이면,

더 깊은 뿌리를 내리게 만든다.

그럼 더 강해지고 살아남게 된다.

우리도 어려움을 겪을 때 더 깊이 뿌리를 내린다고 생각하면 어떨까?

훗날 먹음직스러운 토마토를 수확하는 날을 상상하며 말이다.

 

[멍뭉’s Tip!]

  • fruitful : 열매를 잘 맺는 [풍작의]
  • shallow : 얕은 [피상적인] / 얕음 [얕은 곳]

[영어독립365/W2D3] - 복습

 

[영어독립365/W2D3] Connect with / connect with vs connect to

[영어독립365/W2D3] Connect with Connect with ~와 교류하다 connect with는 '~와 연결되다', '~와 가까워지다'라는 표현이다. with 다음에 사람이 오면 알아가고 교류한다는 뜻. connect with classmates : 반 친구들과

kimmeongmung.tistory.com

connect with와 connect to의 차이점을 살펴봤었다.

한참이 지나고 살펴보니 인풋의 양 자체가 적기도 했지만

컴퓨터나 장비들 관련된 내용에서나 connect to를 좀 봤고

connect with는 잘 보지 못했다.

그래서 무조건적인 암기보다는

자연스럽게 글을 읽고 영화를 보면서

그때그때 습득하는 게 내게 맞는 것 같다.

정답은 아니겠지만 좀 더 효율적인 것 같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