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40D4] A constitute B
Psychologist Rubin Naiman has argued that the loss of dreams in our culture consitutes a public health hazard.
심리학자 루빈 나이만은 우리 문화에서 꿈의 상실은 공중 보건의 위험요소로 여려진다고 주장했다.
- Psychologist Rutin Naiman has argued
심리학자 루빈 나이만은 주장했다 - that the loss of dreams in our culture
우리 문화에서 꿈의 상실은 - consitutes a public health hazard.
공중 보건 위험으로 여겨진다고
학자나 전문가가 자신의 견해를 표현할 때, A has argued that라고 한다.
A에는 보통 이름이나 전문가와 가은 특정 집단이 나온다.
A constitute B는 'A는 B로 여겨진다'라는 표현이다.
기사나 논문에서 인용할 때 자주 쓰이는 표현법이다.
the loss of dream, 꿈을 잃는 것(A)이 a public health hazard, 공중보건에 있어서 위험한 현상(B)으로 여겨진다는 뜻이다.
- Sharing a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constitutes a legal offense.
환자의 개인 정보를 공유하는 것은 법적 범죄로 여겨집니다.
[Helpful Tip!]
- argue : 주장하다, 입증하다
- loss : 손실
[멍뭉’s Story]
He argued that all knowledge is obtained through experience.
그는 모든 지식은 경험을 통해 얻어진다고 주장했다.
문장 구조는 물론 해석도 쉬운 간단한 문장이다.
문장이 조금 길어져도 결국 앞에 오는 누군가가 뒤에 오는 무언가를 주장한 것이다.
오늘 내용에서 argue는 이론적으로 주장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논의하다', '논쟁하다', '언쟁하다'라는 의미로도 많이 쓰인다.
구어체에서 특히 더 그런 듯하다.
상당히 많은 대사들이 논쟁의 의미로 쓰인다
다음은 특히 많이 쓰이는 대사들이다.
- Well, I can't argue that.
- You can't argue with that.
- Can't argue with that.
- Can't nobody argue with that.
- Hard to argue with that.
Pacific oysters constitute 80% of the global oyster trade
태평양 굴은 세계 굴 무역의 80%를 차지한다.
이 영상에서 '차지한다'가 좀 더 자연스럽다.
'여겨진다'는 본래의 의미가 사라진 것은 아니다.
consititue의 사전적 의미인 '구성하다' 또는 '(어떤 상태를) 만들어 내다'의 의미는 그대로지만
문맥에 맞게 적절히 쓰지 않으면 좀 어색한 표현이 된다.
태평양 굴은 세계 굴 무역의 80%를 차지한다는 말도
결국엔 태평양 굴이 세계 굴 무역의 80%를 구성한다는 말이고
태평양 굴이 세계 굴 무역의 80%를 만들어 냈다는 말이기도 하다.
사전적 의미만이 아닌 그 의미가 전달하는 느낌을 살리는 것이 이해를 더 높이는 것 같다.
[멍뭉’s Tip!]
- oyster : 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