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44D5] The Donkey Carrying the Sacred Image
The Donkey Carrying the Sacred Image
성스러운 상을 지고 가는 당나귀
A sacred image was being carried to the temple.
It was mounted on a donkey adorned with garland and gorgeous jewels,
and a grand procession of priests followed it through the streets.
As the donkey walked along, people bowed their heads in respect or fell to their knees,
and the donkey thought that the people were honoring him.
This idea made him so arrogant that he stopped walking and started to sing loudly.
Soon enough, one of the servants realized what had gotten into the donkey and began to beat him with a stick.
"Keep moving, you stupid donkey," he cried.
"The honor is not meant for you. It's for the image you are carrying."
Do not try to take the credit to yourself that is due to others.
성스러운 상을 든 행렬이 성전을 향하고 있었씁니다.
성스러운 상은 화환과 화려한 보석으로 꾸며진 당나귀가 지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길을 따라, 당나귀 뒤로 성직자들의 기다란 행렬이 이어졌습니다.
당나귀가 지나가자 사람들은 정중히 고개를 숙여 절을 하거나 무릎을 꿇었습니다.
그런데 당나귀는 사람들이 자신을 숭배한다고 착각했습니다.
그렇게 생각하니 당나귀는 교만해져 걸음을 멈추고 크게 노래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하인 중 한 명이 당나귀가 왜 그러는지 깨달아 몽둥이로 당나귀를 때리기 시작했습니다.
"바보같은 당나귀야 계속 움직여라,
이 모든 것은 너를 위한 게 아니라, 네가 지고 가는 성스러운 상을 위한 것이다."
다른 살마의 공로를 자신에게 돌리려고 하지 마세요.
- One of the servants realized what had gotten into the doneky and began to beat him with a stick.
하인 중 한 명이 당나귀가 왜 그러는지 깨달아 몽둥이로 당나귀를 때리기 시작했습니다.- what had gotten into the doneky는 당나귀가 미친 듯 노래를 부르니 무언가 당나귀 안으로 들어간 것만 같다.
그전에는 없었던 어떠한 '생각'이 당나귀 안으로 들어간 것 같다는 의미다.
당나귀 안으로 들어간 것은 바로 '교만'이다.
원래 그러지 않았던 당나귀가 그러니 다른 사람에게는 마치 밖에서 '고만'이 쏙 들어간 것 같이 보이는 것이다.
따라서 미친듯이 행동하는 사람에게 '행위의 이유'를 물을 때
What has gotten into you?라고 말할 수 있다. - What has gotten into him? He looks so happy all of a sudden.
왜 저래? 갑자기 엄청 행복해 보이네.
- what had gotten into the doneky는 당나귀가 미친 듯 노래를 부르니 무언가 당나귀 안으로 들어간 것만 같다.
- Do not try to take the credit to yourself that is due to others.
다른 사람의 공로를 자신에게 돌리려고 하지 마세요.- do not A의 형식의 문장으로 '~하지 마라'는 의미다.
credit은 '신용', '인정'을 의미하는데 여기서는 '공로'를 의미한다. - take credit to oneself라고 하면 '자신에게 공로를 가져가다'
즉, 자기의 공적으로 돌리다'라는 의미가 된다.
그런데 이 공로는 due to others, 즉, 다른 사람의 공로인 것이다.
due to는 보통 '~때문에', '~덕분에'를 의미하지만,
여기서는 '자격이 있는 사람에게 주어야 하는'을 뜻하는 due와 전치사 to가 만나
'~에게 주어져야 하는'을 의미한다. - The company didn't want the employees using the 3 vacation days that are due to them.
그 기업은 직원들이 직원들의 권리인 3일 휴가를 쓰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았다.
- do not A의 형식의 문장으로 '~하지 마라'는 의미다.
[Helpful Tip!]
- mount : 오르다, 타다, 올라타다, 태우다
- adorn : 꾸미다, 장식하다
- credit : 신용, 공, 인정
- procession : 행진, 행렬
- bow : 머리를 숙이다, 허리를 굽히다, 절하다
- arrogant : 오만한
[멍뭉’s Story]
검색해보니 "What has gotten into you?" 이 대사가 정말 많이 나온다.
자연스럽게 번역하면 '너 왜그래?' 정도가 되겠다.
Brooklyn Nine-Nine - The Fugitive Pt. 1; The Fugitive Pt. 2 [S04E11]
- What has gotten into you?
너 왜그래?- 표정을 보면 어떤 느낌인지 알 것이다.
안하던 행동을 하니 '얘 왜이래?'라는 표정이다.
- 표정을 보면 어떤 느낌인지 알 것이다.
What the hell has gotten into you?
Funny People clip with quote What the hell has gotten into you? Yarn is the best search for video clips by quote. Find the exact moment in a TV show, movie, or music video you want to share. Easily move forward or backward to get to the perfect clip.
yarn.co
- What the hell has gotten into you?
너 대체 왜그래?- 첫 번째와 같지만 the hell을 넣어서 좀 더 강하게 표현했다.
표정과 목소리를 들어보면 도대체 왜 그러는건지 도저히 이해가 안간다는 표정이다.
- 첫 번째와 같지만 the hell을 넣어서 좀 더 강하게 표현했다.
Sweetheart, what has gotten into you?
The Parent Trap (1998) clip with quote Sweetheart, what has gotten into you? Yarn is the best search for video clips by quote. Find the exact moment in a TV show, movie, or music video you want to share. Easily move forward or backward to get to the perfec
yarn.co
- Sweetheart, what has gotten into you?
얘야, 왜 그러니?- 와.. 이 영화를 여기서 보다니!!
오늘 표현도 내꺼다!!
이 영화는 오래됐지만 참 재밌게 봤던 영화다.
한글 제목으로는 발음 그대로 << 페어런트 트랩 >> 으로 개봉 되었다.
쌍둥이 자매가 어떤 이유로 따로 살게 되면서
한 아이는 엄마와, 한 아이는 아빠와 지내면서 커 왔는데
서로의 존재를 몰랐던 자매는 캠프에서 만나면서 서로에 대해 알게되고,
서로 엄마와 아빠가 보고싶었던 자매는 캠프가 끝나고 서로 반대로 돌아간 것이다.
링크 영상에 나오는 상황은 캠프가 끝나고 엄마와 자란 아이가 아빠가 보고싶어 서로 바꿔서 왔는데
아빠가 사귀는 여자와 결혼할거라고 하니까 딸의 반응을 보고 아빠가 말을 건네는 상황이다.
- 와.. 이 영화를 여기서 보다니!!
Honey, I Shrunk the Kids (1989)
Quark, what's gotten into you?
Honey, I Shrunk the Kids (1989) clip with quote Quark, what's gotten into you? Yarn is the best search for video clips by quote. Find the exact moment in a TV show, movie, or music video you want to share. Easily move forward or backward to get to the perf
yarn.co
- Quark, what's gotten into you?
쿼크, 너 왜 그래?- 와... 오늘 정말 재밌다!!
오늘 표현은 완전 내꺼다!!
이 영화도 오래된 영화지만 정말 재밌게 본 영화다.
한글 제목은 '애들이 줄었어요'다.
직역하면 '여보, 내가 애들을 줄였어'가 된다.
내용은 제목 그대로다.
영상에 나오는 남자가 아이들 아빠다.
물체를 작게 만드는 기계를 만드는데 요상한 물건을 만드는 괴짜 과학자 정도로 보면 되겠다.
거의 완성을 했지만 결과가 항상 좋지 않았는데 동네 아이들이 야구하다가 유리창을 깨고 날아든 야구공을 맞고
기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되고, 아이들이 작아지면서 생기는 일을 다룬 영화다.
후속작으로 아이가 커지는 영화도 나온다.
제목도 'Honey, I Blew Up the Kid'로 한글 제목으로 '아이가 커졌어요'다 - 오늘 내용을 오랜 기억과 연결하려고 길게도 썼다.
위 상황은 작아진 아이들이 쿼크(강아지)에 붙어서 아빠한테가라고 해서 쿼크가 아빠를 찾아간 상황이다.
강아지가 식탁에까지 올라와서 알수없는 행동을 하는 걸 보고 아빠가 쿼크한테 하는 말이다.
- 와... 오늘 정말 재밌다!!
위의 모든 상황이 전혀 달라 보이지만 대사를 하는 상황이 가진 의미는 동일하다.
바로 상대가 왜 그러는지 이해가 안가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책의 설명 대로다.
이해가 안가는 상대의 행동에 대해 그 행위에 대한 이유를 묻는것이다.
그런 상황에 상대방에게 물을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
이상하게 바라 보거나, 좀 화가 나거나, 달래거나, 귀찮아 하는 등의 말투와 표정이 상황에 맞게 표현되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