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독립 멍뭉!/영어독립 365

[영어독립365/W12D1] Don't beat around the bush. / Various expresstions of 'get to the point'

by 김멍뭉씨 2022. 9. 4.
반응형

[영어독립365/W12D1] Don't beat around the bush.

Don't beat around the bush.
빙빙 돌려 말하지 마세요.
  • 사냥할 때 덤불 주변을 두드려 숨어있는 동물들이 겁을 먹고 날아오르거나 뛰쳐나오게 만드는 행동에서 유래.
  • 동물을 직접 건드려 화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덤불을 직접 치지 않고 주변을 쳤던 것.
  • 핵심을 건드리지 않고 주변 덤불을 두드리는 모습을 표현한 이 문장은 '변죽을 울리다'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 Don't beat aroud the bush. Just get to the point.
    빙빙 돌려 말하지마. 그냥 핵심을 말해.
    • get to the point는 beat around the bush와 함께 자주 사용되는 표현.
    • 돌려 말하지 말고 요점으로 바로 넘어가자는 말.
    • just를 붙이면 '그냥 빨리 본론으로 들어가자'라는 뉘앙스를 더할 수 있다.

 

[Helpful Tip!]

  • beat : 때리다, 두드리다
  • bush : 덤불

[멍뭉's Story]

이런 문장은 이미지도 많이 나온다.

이미지 검색을 많이 하다보니

이미지로 쉽게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이런식으로 잘 나오는것 같다.

 

영영 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to avoid talking about what is important
  • to talk about lots of unimportant things because you want to avoid talking about what is really important
  • to talk around a subject without getting to the point
  • to avoid coming to the point; delay in approaching a subject directly

영여사전 예문들도 살펴보자.

  • Quit beating around the bush and say what’s on your mind.
  • Stop beating around the bush and tell me what you want.

이렇게 보니 문장 형식도 비슷하게 쓰인다.

같이 쓰이는 단어들도 보이고.

 

찾다 보니 영국식 영어에서는 around보다는 about으로 쓰이는 듯 하다.

다음 링크에 이 둘의 차이에 대한 재밌는 설명들이 있다.

결론만 말하면 둘 다 같은 의미로 쓰인다.

지역에 따라 익숙하게 쓰는걸 쓰면 된다.

  • Eliot did not beat about the bush.
  • I am not a person to beat about the bush.

Which is correct: "beating about the bush" or " beating around the bush"?

 

Which is correct: "beating about the bush" or " beating around the bush"?

Answer (1 of 13): “Beating about the bush” and “Beating around the bush” are used equally but depending on what part of the world you learned your English. In The United States, which is a very “milk” (or loose) version of English, the usual us

www.quora.com

 

get to the point

말도 천천히 하고 내용도 쉽게 말해서 이해하는데 크게 어려움이 없다.

지금 내 수준에 배우기 좋은 수준인것 같다.

영상에서 get to the point의 쓰임과 비슷한 다른 표현들을 설명했는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get to the point / come to the point
    • 가장 중요한 생각을 즉시 말하거나 쓰는 것
    • 강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변형하여 쓸 수 있다.
      • get right to the point
      • com straight to the point
      • 굳이 저 부분을 해석하자면 '바로' 정도가 되겠다.
  • get to the heart of the matter
    • 비슷한 표현이지만 조금 다르게 쓰인다.
    • "Get to the point." 또는 "I wish you'd get to the point."
      라고 하면 참을성이 없어 보여 무례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그에 비해 "Let's get to the heart of the matter"는 좀 더 세심함을 보여준다.
    • 이 표현은 메인 문제에서 핵심 이슈를 확인하는 것.
    •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다' 정로도 해석하면 될 듯 하다.
  • to get to the bottom of something
    • 이 표현은 get to the heart of the matter와 유사한 표현.
    • 문제를 해결 하고 싶어 문제의 이유나 원인을 찾으려고 할 때 쓰는 표현.
    • 직장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 Let's get to the bottom of this.
    • Let's figure out what went wrong.
  • get to the root of a problem(or matter)
    • to get to the bottom of something와 같은 표현.
    • 이라고 설명하지만 뉘앙스가 조금 다르게 느껴진다.
    • 예를 들어, 생산량이 줄거나 매출이 떨어지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A company needs to get to the root of the problem and take corrective action.
    • 위의 설명대로 to get to the bottom of something이 문제의 직접적인 이유나 원인 이라면
    • get to the root of a problem(or matter)은 root of problem,
    • 즉, 문제의 근원을 생각한다. bottom보다는 더 큰 영역이라고 할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