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18Weekend] 어떻게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을까?
1994년, 심리학자 조지 로웬스타인은 다양한 도형을 보여 주며 응시하는 시간을 기록하는 실험을 한다.
너무 단순한 도형과 매우 복잡한 도형은 응시 시간이 짧았다.
하지만 적당히 복잡해진 도형은 응시하는 시간이 길어졌다.
조지 로웬스타인은 이를 통해 ‘정보 간극’을 설명한다.
적당히 친숙하면서도 적당히 새로울 때 우리는 호기심이 생긴다는 것이다.
이는 이미 알 고있는 것은 새로운 시도의 두려움을 줄여주고,
모르는 것은 흥미를 자아내기 때문이다.
이를 ‘호기심 괴리 이론’이라고 한다.
따라서 호기심을 자극하기 위해서는 내가 무엇을 알고 모르는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친숙함에 더할 수 있는 새로움을 찾아보자.
반복 학습으로 새로움이 친숙함이 되면, 그 기반 위에 또 다른 새로움을 찾아 나가는 것이다.
이처럼 호기심은 배움으로 자연스럽게 이끌고,
배움은 그렇게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 What you already know reduces your fear of trying something new, and what you don’t know creates interest.
이미 알고 있는 것은 새로운 것을 시도하는 데 두려움을 줄여 주고, 모르는 것은 흥미를 자아내기 때문입니다.
- what you already know : 당신이 이미 알고 있던 것
- what you don’t know : 당신이 모르는 것
[멍뭉's Story]
4 Ways To Stimulate Your Curiosity
호기심을 자극하는 4가지 방법
4 Ways To Stimulate Your Curiosity
Leaders should value curiosity and foster an environment conducive to creative ideas and new thoughts.
www.aboutmybrain.com
- We can learn to use our brains in extraordinary ways, and nurturing curiosity is step one of this process.
우리는 우리의 뇌를 놀라운 방법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고, 호기심을 키우는 것은 이 과정의 첫 번째 단계입니다.
기사 타이틀 배경 이미지에 나오는 호기심 가득해 보이는 아이의 모습이 참 귀엽다.
그리고 호기심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가 전달된다.
위 기사에 다음과 같은 말이 나온다.
Be like Curious George, start with a question and look under the yellow hat to find what’s there.
호기심 많은 조지처럼, 질문으로 시작해서 노란색 모자 아래에 무엇이 있는지 찾아보세요
James Collins
제임스 콜린스
이게 무슨말인가 싶었는데
curious를 검색하려고 보니 자동완성으로 Curious George가 나와서 찾아봤다.
호기심 많은 원숭이 조지가 주인공인 애니메이션이다.
노란색 모자는 조지의 친구로 노란색 모자를 쓰고 나온다.
GETTING CURIOUS ABOUT CURIOSITY
Why are we curious? Curious minds explained - People News | Particle
Emerging research behind curiosity highlights its link towards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Curiosity is the driving force behind everything we know", says Professor Celeste Kidd.
particle.scitech.org.au
- In a world increasingly driven by technology, human skill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더욱더 기술이 주도하는 세상에서, 인간의 능력은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 In the words of brilliant physicist Albert Einstein, “I have no special talent – I am only passionately curious.”
뛰어난 물리학자 알버트 아인슈타인의 말처럼, “나는 특별한 재능이 없다. 나는 단지 열정적인 호기심이 있을 뿐이다.” - Curiosity helps us learn better, the research suggests.
호기심은 우리가 더 잘 배울 수 있도록 도와준다고 그 연구는 시시합니다. - Specifically, we’re better at learning things we’re curious about.
특히, 우리는 우리가 궁금해하는 것들을 더 잘 배웁니다
[멍뭉's Helpful Tip!]
- Stimulate : 자극하다
- extraordinary : 비범한, 비상한
- nurture : 양육하다, 육성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