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독립 멍뭉!/영어독립 365

[영어독립365/W7Weekend] 주요 동사 02 : HAVE / What is difference between Eat and Have?

by 김멍뭉씨 2022. 8. 10.
반응형

[W7Weekend] 주요 동사 02 : HAVE

주요 동사인 HAVE의 다양한 의미를 알아보자.

  1. [물질적인 무언가를] 가지다, 소유하다
    내가 무언가를 소유하고 있을 때, 소유를 원할 때, 소유하지 않았을 때 사용
    • have를 사용해서 '물건을 소유하고 있는 상태'를 표현
      • May has 5 dollars in her pocket.
        메이는 주머니에 5달러를 가지고 있다.
        메이는 주머이네 5달러가 있다.
      • I want to have a sports car.
        나는 스포츠카를 가지고 싶다. 
        → 스포츠가가 있었으면 좋겠다.
    • havenot과 같은 부정문과 함께 사용되면 '없다'가 됨
      • We don't have any spare laptops at the moment.
        우리는 지금 여분의 노트북을 가지고 있지 않아요.
        → 우리는 지금 여분의 노트북이 없어요.
  2. ~해야 한다, ~해야 할 의무가 있다
    • 마무리 지어야 할 일이 있을 때, 혹은 해야 할 일이 있다고 이야기할 때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표현
    • have 뒤에 to를 붙이면 '~해야 한다'는 뜻
    • 다음과 같이 have의 핵심 의미인 '(가지고) 있다'라는 뜻이 포함된 형태로 해석이 가능하다.
    • have to A는 'to A를 가지다' 'A 해야 함을 가지고 있다' 'A를 해야 한다' 가 된다.
    • We all have to take care of the Earth.
      우리는 모두 지구를 보살펴야 할 의무를 가지고 있다.
       우리는 모두 지구를 보살펴야 한다.
    • I have to finish some paperwork.
      나는 문서 작업을 끝내야 할 책임을 가지고 있다.
       나는 문서 작업을 끝내야만 한다.
  3. [추상적인 무언가를] 가지다
    • '(가지고) 있는' 무형의 가치나 추상적인 개념을 지칭할 수 있음
    • I don't have time for lunch. I have some work to finish by 2 p.m.
      점심 먹을 시간이 없어. 오후 2시까지 끝내야 할 일이 있어.
    • Kevin had a misunderstanding with his boss.
      케빈은 상사에 대한 오해를 가지고 있었다.
      → 케빈은 상사를 오해하고 있었다.
    • We have a meeting in 10 minutes.
      우리는 10분 뒤에 회의가 있다.
    • We are having a party next week to celebrate the end of the year.
      우리는 다음 주에 송년회를 가질 것이다.
      → 다음 주에 송년회를 것이다.
    • have는 대상의 실재 여부나 형태와 무관하게 '~가 있다'라고 표현할 때 자주 쓰임.
  4. 관계를 맺고 있다, 관계가 있다.
    • have가 언제나 소유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 David has two older sisters and one younger brother.
      데이비드는 두 명의 누나와 한 명의 남동생을 가지고 있다.
      → 데이비드에게는 두 명의 누나와 한 명의 남동생이 있다.
    • 여기에서도 '~가 있다'라는 뜻
  5. 먹다, 마시다 등의 행위
    • 식사를 하거나 커피를 마실 때도 have를 사용할 수 있다.
    • We just had pizza for dinner.
      우리는 방금 저녁으로 피자를 먹었다.
    • have가 '먹다'로 표현될 때는 '식사 자리를 가졌어'라는 표현을 떠올리면 맥락을 더 쉽게 연상 가능
    • '식사하다'는 '식사하는 시간/경험을 가지다'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음
    • 미래를 나타낼 때는 be동사 + having의 형태로 표현한다.
    • They are having coffee after lunch.
      그들은 점심을 먹고 커피를 마실 거야.
    • 이외에도 여러 명사에 have를 붙여 어떠한 행위를 나타냄
    • I had a walk with him.
      나는 그와 함께 걸었다.
    • Kailey is having a baby.
      케일리가 임신했다.
  6. ~를 경험하다, 겪다
    • '~를 경험하다'라는 뜻
    • 대표적인 예로 Have a nice day!
    • Madison is having a hard time falling asleep.
      매디슨은 잠이 드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 매디슨은 잠이 드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매디슨은 쉽게 잠에 들지 못하고 있다.
    • have가 수식하는 것이 경험이면 ~한 경험을 가지다', 즉 '~를 겪다'로 풀이.
    • We had a great time at the after party.
      → 우리는 뒤풀이 파티에서 좋은 시간을 가졌다.
      → 우리는 뒤풀이 파티에서 좋은 시간을 보냈다.

[멍뭉's Story]

두 번째 의미인 '~해야 한다', '~해야 할 의무가 있다'를 좀 더 쉽게 풀이해보면

have to A에서 A가 homework라면

'to homework 가지다'  'homework를 가지고 있다'  'homework를 해야 한다'가 된다.

이미 책에도 나오지만 더 쉽게 이해되지 않을까 해서 적어본다.

 

그리고 먹다, 마시다의 뜻의 have와 eat의 차이가 궁금했다.

  • Did you eat this pizza?
    는 잘 어울리는데
  • Did you have this pizza?
    는 좀 어색하다.
  • Did you have lunch?
    는 잘 어울리는데
  • Did you eat lunch?
    는 어색하다

늬앙스에 차이가 있는 게 분명한데 잘 몰라서 이렇게 적다 보니

pizza처럼 특정 음식을 지칭할 땐 eat를 사용하고

점심이나 저녁, 간식 등 음식 자체가 아닌 끼니(?)를 나타내면 have를 사용하는 게 아닐까?

해서 구글링 해보니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eat(food) and have(food)?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eat(food)" and "have(food)" ? "eat(food)" vs "have(food)" ?

Synonym for eat(food) They're basically interchangeable but "eat food" is the act of eating while "have food" (which is a little bit more natural and common to say) might convey the general social or personal experience of eating food. "I need to make sure

hinative.com

짐작한 것과 비슷한 방향으로 간 것 같다.

eat는 실제로 먹는 행위를 나타내고

have는 음식이 아닌 관습으로 언급할 때 사용한다고 한다.

설명을 듣고 나니 먹다, 마시다의 have도 본래 의미인 '가지다'에서 파생되었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점심들 가지다
→ 점심을 먹다

 

다음 링크에서는 좀 더 자세한 문법적인 설명이 나온다.

Have and Eat

 

Have and Eat

When talking about a specific meal or food, the verbs “eat” and “have” are often interchangeable.

learningenglish.voanews.com

  • have는 타동사로 먹은 거나 먹을 것을 항상 말해야 하고
  • eat는 자동사로 have처럼 먹은거나 먹을 것을 항상 말할 필요가 없다

다음 예제를 보면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다.

  • I’m really hungry. Let’s eat!
    는 쓸 수 있지만
  • I’m really hungry. Let’s have!
    는 쓸 수 없다.
    하지만
  • I’m really hungry. Let’s have pasta!
    는 쓸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