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영어독립365/W5Weekend] 주요 전치사 01 : IN
- a pie in the sky
하늘에 있는 파이 - 일어나길 희망하지만, 이러우질 수 없는 거의 불가능한 일을 말할 때 쓰는 표현
- '그림의 떡'과 같은 의미
- 여기에서 in은 '~에 있는'이라는 의미로 장소나 위치 등을 나타냄
그럼 주요 전치사 IN에 4가지 쓰임에 대해 알아보자.
- 건물, 공간 등 구분된 영역 안에 있음
- 경계가 뚜렷하게 존재하는 건물과 같이 입체적인 공간 속에 들어가 있는 모양을 표현할 때 in을 사용
- George's son is still in school.
조지의 아들은 아직 학교에 있다.
- in school은 아직 '학교'라는 경계 안에 있다는 뜻.
- in을 소속의 개념으로 접근해 '아직 학교에 소속된 학생'이라는 풀이도 가능.
- May is sleeping in her room.
메이는 그녀의 방에서 잠을 자고 있다.
- 메이가 '방'이라는 경계 안에 들어가서 잠을 자고 있다.
- in her room 대신 in her bed라고 하면 '침대'라는 경계 안에 들어가서 잠을 자는 것.
- What's in your hands?
손 안에 있는게 뭐야?- 여기에서 in은 '손'이라는 경계 안에 무언가 있다는 것을 의미.
- in one's hands의 여러 의미
- 물리적으로 '~의 손안에 있다'
- What's in your hands?
손 안에 있는게 뭐야?
- What's in your hands?
- 물건을 '수중에 가지고 있음'
- I only have $10 in my hands.
수중에 돈이 10달러밖에 없다.
- I only have $10 in my hands.
- 처리해야 할 업무나 문제 등 추상적인 것을 '가지고 있음'
- Unfortunately, the urgent matter is now in my hands.
죄송합니다. 현재 처리해야 할 급한 일이 있어요.
- Unfortunately, the urgent matter is now in my hands.
- 특정한 상황에 대한 권한의 위치
- The decision is in your hands.
결정은 너에게 달렸다.
- The decision is in your hands.
- 물리적으로 '~의 손안에 있다'
- 정해진 영역 안에 있음
- 입고 있는 옷이나 특정한 신체 부위 등 무언가의 범위 안에 있음을 이야기 할 때 in사용.
- 뚜렷하게 경계선을 구분하기는 모호하지만 분명 경계가 존재하는 것들.
- I put a lot of chili in that sauce.
그 소스 안에 고추를 많이 넣었어.- 소스는 액체이기에 눈에 보이는 경계선이 항상 바뀌지만, '소스'라는 범위 안을 뜻한다.
- Who is that guy in the green suit?
저 녹색 정장 안에 있는 남자는 누구야?
→ 저 녹색 정장 차림의 남자는 누구야?- 옷 안에 몸을 넣으므로 in을 사용할 때, 옷의 영역을 하나의 덩어리로 생각하면 됨.
- You look great in blue.
너는 파란색이 잘 어울린다.- '어떤 색의 영역에 속 한 옷'을 말할 때도 in을 사용.
- 위 문장은 특정한 색의 옷이 잘 어울릴 때 사용.
- The victime was beaten badly in the face.
피해자는 얼굴에 심하게 구타를 당했다. - Henry was shot in the leg.
헨리는 다리에 총을 맞았다.- 두 예문 모두 얼굴과 다리라는 신체 부위의 영역을 의미하고자 in을 사용.
- 형태와 상관없이 경계나 범위가 정해져 있는 영역에 들어가 있음을 표현할 때 in을 사용.
- 추상적인 개념의 영역 안에 있음
- in은 물리적 공간과 경계를 넘어
- 어떠한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거나
- 추상적인 개념 안에 있음을 표현 할 때도 사용
- You should tell mom when she is in a good mood.
엄마가 기분 좋은 상태에 있을 때 이야기하는 게 좋을 거야.- 누군가의 기분을 표현할 때 one is in a goo/bad mood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하는데
- '좋은/나쁜 기분의 영역' 안에 들어가 있는 것.
- Michael made his mark in politics.
마이클은 정치의 경계 안에 그의 표식을 남겼다.
→ 마이클은 정계에서 명성을 떨쳤다. - Michael works in politics.
마이클은 정계에 몸을 담고 있다.- 두 예문에서 in은 한국어로 풀이했을 때 '~내에서', '몸을 담은'과 같은 표현으로 풀이된다.
- James is definitely in love with Gwen.
제임스는 그웨과 사랑에 빠진 게 분명해.- 사랑이라는 영역의 안으로 들어갔다는 표현으로
- 한국어로 '사랑에 빠지다'와 같은 표현이다.
- Isaac believes in God.
아이삭은 신을 믿는다.- 신을 믿는다는 것은 종교적인 믿음을 가졌다는 뜻.
- believe A는 A라는 사실, 혹은 A라는 사람이 한 말을 믿는다는 뜻.
- Believe in A는 A의 존재, 능력, 가치를 믿는다는 뜻 / 그 사람의 전체적인 인격체를 믿는다는 것을 의미
- I belive you
나는 네 말을 믿어. - I believe in you.
나는 너의 인격/존재/가치/능력을 믿어.
→ 나는 네가 해낼 수 있을 것이라 믿어.
- I belive you
- [시간적 범위] 안에
- 전치사가 시간과 관련해 사용될 때 헷갈릴 수 있다.
- 각 전치사가 지니고 있는 의미와 느낌을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 in은 시간과 관련된 표현으로 사용할 때 '(시간적 범위) 안에'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 in time : 제시간 안에
- Ivy arrived in time.
아이브는 (특정한) 시간 안에 도착했다.
→ 아이비는 늦지 않게 도착했다.
- Ivy arrived in time.
- on time : 정확하게 주어진 시간에
- Ivy arrived on time.
아이브는 (특정한) 시간에 도착했다.
→ 아이비는 정각에 도착했다.
- Ivy arrived on time.
- 특정 시간을 6시라고 가정하고
- in의 기본 개념은 '어떠한 경계 안에'라는 뜻.
- in time은 6시에 도달하기 전의 영역에 있을 때 사용한다.
- on은 접촉의 느낌.
- on time은 시침이 딱 6시 위에 겹쳐져 있을 때 사용
- Jerome managed to finish the report in time.
제롬은 제시간 안에 리포트를 끝낼 수 있었다.- 위 예문에서 on time으로 쓰였다면
- '주어진 시간에 딱 맞춰 보고서를 끝냈다'는 의미가 된다.
[멍뭉's Story]
in으로 뭘 써야 하나...
너무 방대하다...
구글에는 정답이 있을까??
정답은 모르겠지만 힌트는 있다!!
검색중에 눈에 띈
into와 in to에 대해 알아보자.
into vs in to
제대로 정리하자면 너무 방대한 양이라
오늘의 주제인 in을 중심으로 간략히 알아보자.
into와 in to는 소리가 같아 혼동 되기도 하는데
둘 중에 어떤 것을 써야 할 지 고르는 건 어렵지 않다.
(정리하고나서 다시 보니 정말 어렵지 않다!!)
- into
- 책의 설명에 나온 in의 개념에서 to가 붙어 이동을 나타낸다.
- 즉, into A라고 하면 현재 A 밖에 있고, A안으로 들어가는 것.
- 문장의 결론에 의해 물리적이든 추상적이든 다른 것 안으로 들어간다면 into를 사용.
- in과 마찬가지로
- box나 pool같이 물리적인 것 일때
- 기간 같이 추상적인 것일 때
- 예외적으로 변화를 나타낼때는 어디에 들어가지 않아도 into를 사용.
- The caterpillar changed into a butterfly.
애벌레는 나비로 변했다. - As expected, Cinderella’s coach turned into a pumpkin at the stroke of midnight.
예상대로, 신데랄라의 마차는 자정이 되자 호박으로 변했다.
- The caterpillar changed into a butterfly.
- in to
- into와 다르게 다른것 안에 들어가서 머무르지 않는다.
- in to는 따지고 보면 하나로 묶여서 쓰이는게 아니고 따로 쓰이는 것.
- 그냥 문장 내에서 그냥 각자 역할로 쓰이는데 나란히 나올 뿐.
다음 그림을 살펴보자.
- He dove into the pool.
그는 수영장으로 뛰어들었다.- 여기에서 into는 전치사로 쓰였다.
- 위의 설명처럼 수영장이라는 물리적 장소 안으로 들어갔으므로 into가 쓰였다.
- He dove in to get a closer look at the corals.
그는 산호를 더 자세히 보기 위해 뛰어들었다.- 여기에서 in to는 서로 옆에 있는 별개의 두 단어
- 위의 설명대로 어느 장소 안으로 들어간게 아니고
- in to 뒤에 문장이 장소나 어떤 범위, 변화가 아니라
- '산호를 더 자세히 보기 위해'이므로 into가 아닌 in to가 쓰였다.
이제 어느정도 정리가 되었으니 마지막으로 그림 연습도!!
[멍뭉's Helpful Tip!]
- caterpillar : 애벌레
- butterfly : 나비
- coach : (스포츠 팀의)코치, 4륜 대형 마차
- pumpkin : 호박
- midnight : 자정
- coral : 산호
- into ~ : ~ 안으로
반응형
댓글